기획레지던시
이성주
-
관리자
2014.05.28
-
- 0
Email/ jagdpanter@hanmail.net
프로필
① 시나리오
1999년 12월 <박철수 필름> 주최 시나리오 공모전 당선
2000년 영화 <봉자> 시나리오 각색
2002년 영화 <뚫어야 산다> 시나리오 집필
1999년 12월 <박철수 필름> 주최 시나리오 공모전 당선
2000년 영화 <봉자> 시나리오 각색
2002년 영화 <뚫어야 산다> 시나리오 집필
② 전시기획
2004년 7월 제8회 SICAF 참가 – <밀리터리 대전>부스 전시기획 및 실행 감독
2005년 10월 경기문화재단 주최 제2회 실학축전 전시 참가 – <박지원>부스 전시기획
2004년 7월 제8회 SICAF 참가 – <밀리터리 대전>부스 전시기획 및 실행 감독
2005년 10월 경기문화재단 주최 제2회 실학축전 전시 참가 – <박지원>부스 전시기획
③ 연극
2009년 9월 극단 대학로 극장 20주년 기념작품 연극 <청산리에서 광화문까지> 희곡 작업
(공연 9월 16일 ~ 9월 27일)
2009년 9월 극단 대학로 극장 20주년 기념작품 연극 <청산리에서 광화문까지> 희곡 작업
(공연 9월 16일 ~ 9월 27일)
④ 방송
2010년 1월 ~2011 3월 마산 MBC 라디오 <아침의 행진> ‘이성주의 숨겨진 3분의 진실’ 진행
그 외 다수 TV출연
2010년 1월 ~2011 3월 마산 MBC 라디오 <아침의 행진> ‘이성주의 숨겨진 3분의 진실’ 진행
그 외 다수 TV출연
⑤ 강연
2010년 2월 ~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SERI CEO’출강.
삼성신입사원교육, 삼성 부장단 교육 강연, KT 연수원 초청 강연, 중소기업청, 동국대 강연 등등 각종 강연 출강
2010년 2월 ~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SERI CEO’출강.
삼성신입사원교육, 삼성 부장단 교육 강연, KT 연수원 초청 강연, 중소기업청, 동국대 강연 등등 각종 강연 출강
⑥ 동영상
2010년 6월 국방부 홍보동영상 제작(대본, 기획)
2010년 8월 미래에셋 인터넷 홍보 동영상 기획/ 제작 (10개)
2010년 12월 포천시 홍보 동영상 공모전 수상 (장려상 수상)
2010년 6월 국방부 홍보동영상 제작(대본, 기획)
2010년 8월 미래에셋 인터넷 홍보 동영상 기획/ 제작 (10개)
2010년 12월 포천시 홍보 동영상 공모전 수상 (장려상 수상)
⑦ 신문연재
2003년 11월~ 2005년 2월 스포츠 투데이 <18금 이야기> 연재.
2004년 4월 포커스 <노종실록> 연재.
2005년 5월~ 2006년 2월 스포츠 칸 <엽기조선왕조실록> 연재
2007년 12월 스포츠 칸 <엽기인물한국사> 연재
2008년 7월 스포츠 칸 <도처춘풍> 연재
2008년 8월 스포츠 한국 <식색성야> 연재
2003년 11월~ 2005년 2월 스포츠 투데이 <18금 이야기> 연재.
2004년 4월 포커스 <노종실록> 연재.
2005년 5월~ 2006년 2월 스포츠 칸 <엽기조선왕조실록> 연재
2007년 12월 스포츠 칸 <엽기인물한국사> 연재
2008년 7월 스포츠 칸 <도처춘풍> 연재
2008년 8월 스포츠 한국 <식색성야> 연재
⑧ 주요저서
2003년 7월 <펜더의 전쟁견문록> 출간.
2006년 2월 <영화로 보는 20세기 전쟁> 출간.
2006년 5월 <엽기조선왕조실록> 출간.
2007년 2월 <엽기조선풍속사> 출간.
2007년 7월 <엽기세계사> 출간.
2008년 12월 <발칙한 인물한국사> 출간.
2010년 4월 <역사의 치명적 배후 성> 출간
2011년 11월 <조선왕조 랭킹실록>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조선왕조실록>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조선사 진풍경>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세계사> 출간
2012년 2월 <아이러니 세계사> 출간
2012년 9월 <완벽하게 자살하는 법> 출간
2012년 10월 <왕의 아들> 출간
2013년 1월 <왕들의 부부싸움> 출간
2003년 7월 <펜더의 전쟁견문록> 출간.
2006년 2월 <영화로 보는 20세기 전쟁> 출간.
2006년 5월 <엽기조선왕조실록> 출간.
2007년 2월 <엽기조선풍속사> 출간.
2007년 7월 <엽기세계사> 출간.
2008년 12월 <발칙한 인물한국사> 출간.
2010년 4월 <역사의 치명적 배후 성> 출간
2011년 11월 <조선왕조 랭킹실록>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조선왕조실록>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조선사 진풍경> 출간
2011년 12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세계사> 출간
2012년 2월 <아이러니 세계사> 출간
2012년 9월 <완벽하게 자살하는 법> 출간
2012년 10월 <왕의 아들> 출간
2013년 1월 <왕들의 부부싸움> 출간
⑨ 프로젝트 작업
2009년 12월 포스코 사원교육프로그램 <포레카> 기획 및 제작
2010년 9월 국방부 해외파병 공식 홈페이지 기획 컨설팅
2011년 8월 동숭아트센터 <꼭두 캐릭터 작업> 기획 및 제작2012년 3월 한솔 <비타민 MD> 데이터베이스 작업
2012년 11월 삼성서울병원 명의(名醫) 프로젝트 진행
2009년 12월 포스코 사원교육프로그램 <포레카> 기획 및 제작
2010년 9월 국방부 해외파병 공식 홈페이지 기획 컨설팅
2011년 8월 동숭아트센터 <꼭두 캐릭터 작업> 기획 및 제작2012년 3월 한솔 <비타민 MD> 데이터베이스 작업
2012년 11월 삼성서울병원 명의(名醫) 프로젝트 진행
작업계획
제목 : 정막개(鄭莫介) (가제)
시놉시스연산군 말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밀려나고, 중종이 보위에 오르게 된다. 신하들의 힘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은 태생부터 왕권이 약했던 왕이다. 덕분에 반정공신에 휘둘리며, 평생 나약한 왕으로 살아갈 듯이 보였는데, 6년 뒤 반정 3대장이라 불리던 3명의 반정공신들이 차례차례 죽어버리고, 권력은 진공상태가 된다. 정국의 향방이 어디로 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조정대신들과 중종은 서로의 눈치를 보고 있던 그때 의정부의 관노(官奴) 정막개가 공조판서 박영문과 병조판서 신윤무가 반란을 모의한다고 고변하여 상을 받고 상호군에 제수되었다.
훗날 지평 권벌의 상소로 상이 박탈되긴 하였지만, 당시만 하여도 정막개는 나라를 구한 공신 대접을 받게 됐다. 그러나 박영문과 신윤무가 반란을 모의했다는 증거는 아무것도 없었다. 다만 정막개의 뛰어난 언변과 짜맞춘 듯 정확한 “증언” 덕분에 이 둘은 사형을 당하게 된다.
어린시절 조실부모하고 의정부의 관노로 들어왔던 정막개는 소속관청의 특성상 정치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고, 여기에 자신의 비상한 머리를 더해 “시나리오”를 짰던 것이다. 자신의 인생을 걸고 2명의 전(前) 판서들을 역모로 몰아가고, 자신은 공신의 자리에 올라섰던 것이다.
정막개의 고변 이후 수많은 고변자들이 등장해 정막개와 같은 고발을 했지만, 이들은 모두다 실패한다. 그만큼 정막개의 고변은 치밀했고, 철두철미했던 것이다.
그러나 정막개의 말년은 과히 순탄치만 않았는데, 이후 정막개의 고변에 신뢰성이 없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권벌의 상소로 상이 취소됐다. 정막개 변화된 환경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놓게 된다. 그 동안 억눌러왔던 분노를 폭발시키고, 호랑방탕하게 삶을 살다가 부상으로 받았던 모든 재산을 날리고, 말년에 가서는 밥을 동냥하다 굶어죽게 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과연 “권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가 하는 것이다. 이야기의 주제는 바로 이 “권력” 그리고 이 권력으로 포장 돼 있는 인간의 “욕망”이다. 반정의 주축이었던 반정 3대장이 사라진 권력의 진공상태에서 중종과 대신들은 서로 눈치를 보며, 어찌할 바를 몰라하던 그때 정막개라는 생뚱맞은 인물이 등장하는 것이다. 반정 3대장의 죽음과 정막개의 등장 직전의 권력의 진공상태. 이 진공상태에서 하나의 의문을 던지고 싶다.
– 도대체 권력이란 어디에서 나오고 어디로 흘러가는 것인가?
한낱 의정부 관노에 불과한 정막개가 이 권력의 진공상태에 뛰어들어 왕과 대신들을 농락하는 모습 속에서 권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든다. 정막개는 자신의 욕망을 위해 그 권력을 농락하고, 결국 그 권력을 손에 넣게 됐다. 그 사이 우리가 권력자라 생각했던 왕과 조정의 대신들은 멍하니 정막개의 술수에 놀아났던 것이다. 정막개의 욕망 앞에 권력자들이 권력욕망이 무너졌던 것이다.
이 소설은 정막개가 고변을 준비하는 3개월간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권력’이란 것이 어떤 것인지, 진짜 권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려 한다.
여의도 정가에서 흔히들 말하는,
– 권력이란, 권한을 가지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권력이 있다고 믿게 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란 말이 적확하게 맞아떨어지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집필계획
자료조사 (3개월)
– 조선왕조실록, 연려실기술 등등 역사적 사료에서 정막개의 고변에 관한 자료조사
– 당시 정치구도에 대한 확인과 구성준비
구성 및 집필 (5개월)
퇴고 (4개월)
자료조사 (3개월)
– 조선왕조실록, 연려실기술 등등 역사적 사료에서 정막개의 고변에 관한 자료조사
– 당시 정치구도에 대한 확인과 구성준비
구성 및 집필 (5개월)
퇴고 (4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