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들을 위한 작품 보존 가이드
-
- 0
- 0
대상 개인 예술인 교육기간 2025-12-13(토) 접수기간 2025-11-21(금) ~ 2025-12-12(금) 장소 경기창작캠퍼스 선감생활동 2층 세미나실 참가비 10,000원 접수하기
-
-
소개
작품 보존은 작가의 손에서 작품이 만들어질 때부터 시작됩니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는지, 또 어떤 환경에서 만들고 보관하는지에 따라 개별 작품의 지속가능성은 매우 큰 차이를 갖게 됩니다. 그래서 작업실의 실내 환기 상태, 빛의 방향, 온습도, 작품의 보관 상태 등은 작품의 물리적 수명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또한, 작품을 보존할 때는 작가의 창작 의도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그러므로 재료와 기법, 작품 운송과 설치 방법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담긴 매뉴얼은 작품 보존에 필수적인 정보이자 지침이 되어줍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창작과 보존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연속된 과정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작품 매뉴얼과 창작 활동 전반에서 유의해야 할 요소들을 살펴보고, 작가들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예방 보존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주요 내용
■ 작품 매뉴얼 사례 연구
- 14:00 - 16:00 / 양정욱(작가)
- 양정욱 작가의 〈그는 선이 긴 유선 전화기로 한참을 설명했다.〉를 중심으로, 작가가 직접 작성한 작품 매뉴얼을 살펴보며 작품 보존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작품 매뉴얼은 작가의 감각과 언어, 그리고 작품의 주요 개념과 의도가 구조화된 텍스트라는 점에 주목하여, 보존의 관점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살펴봅니다.
■ 작품 보존 심층 컨설팅 리포트
- 16:00 - 18:00 / 조자현(제나미술품보존연구소 대표)
- 2025년 하반기 경기창작캠퍼스에서 진행한 ‘작품 보존 심층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작가들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작품 보존과 관련된 다양하고 현실적인 고민을 공유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보존학을 전공한 사람을 위한 이론 중심의 강연이 아니라, 작가들이 실천 가능한 방식으로 작품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봅니다.
유의사항
방문객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초상권 이용 동의
- 프로그램의 공식 기록을 위하여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진행합니다.
- 촬영 과정에서 참가자의 모습(얼굴)이 노출될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공식 누리집, SNS, 보도자료 등 홍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
- 현장에서는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합니다. 반드시 개인 텀블러나 다회용기를 사용해 주세요.
- 가져온 쓰레기는 모두 직접 회수·반출합니다.
-
현재 진행 중인 교육
예술인
작가들을 위한 작품 보존 가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