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의 소리

  • 인스타그램바로가기 유튜브바로가기 페이스북바로가기 블로그바로가기

  • 대관

닫기
  • 로그인
    회원가입
    기부하기
    Language
    • Korean
    • English
    • Chinese
    • Japanese
    • Vietnamese
    • 방문

      • 안내
      • 공간소개
      • 편의시설
    • 참여

      • 전시
      • 행사
    • 배움

      • 창의예술학교
      • 창작아카데미
      • 활동가 연계교육
    • 창작

      • 레지던시
      • 공모안내
      • 연재소식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 경기창작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기부하기
  • 방문
    • 안내
    • 공간소개
    • 편의시설
  • 참여
    • 전시
    • 행사
  • 배움
    • 창의예술학교
    • 창작아카데미
    • 활동가 연계교육
  • 창작
    • 레지던시
    • 공모안내
    • 연재소식
  • 기관소개
    • 인사말
    • 연혁
    • 운영조직
    • 비전과미션
  • 홍보
    • 보도자료
    • CI소개
  • 기록자료
    • 도서자료
    • 문서자료
    • 시청각자료
염부, 기억의 지리학 / People who harvest salt, goegraphy in memory
  • 좋아요
  • 인쇄
  • url
  • 염부, 기억의 지리학 / People who harvest salt, goegraphy in memory

      • 0
      • 0
    전시기간 2016-10-14(금) ~ 2016-11-27(일)
    장소 2F 스튜디오 2동 테스트베드
    참여작가 자우녕, 최정수
    주최주관 경기창작센터
    대상 영아 유아 초등 청소년 성인
    참가비 무료
  • 염부, 기억의 지리학 / People who harvest salt, goegraphy in memory
    염부, 기억의 지리학
    염부, 기억의 지리학
     
    전시기간
    2016. 10. 14 ~ 11. 27
    초대일시
    2016. 10. 14 (오후 5시)
    참여작가
    자우녕, 최정수
    주    최
    경기창작센터
    입장료/관람료
    없음
    관람시간
    오전 10시~ 18시 (월요일 휴관)
    전시장 정보
    갤러리 명 : 경기창작센터 중앙동 테스트베드
    주 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로 101-19 경기창작센터 중앙동 테스트베드
    전시서문
    ‘염부, 기억의 지리학’은 자우녕, 최정수 작가의 2인전으로 산업화된 도시 공간이 품고 있던 개인의 기억, 집단의 기억을 현재의 모습에서 다시 바라보는 전시이다. 땅과 사람, 사람과 바다를 품고 있었던 경기 서해 연안의 지역이 지금은 간척되고 매립되어 예전의 모습은 희미한 흔적들로만 남을 뿐이다. 그동안 예술가들은 이곳을 터전으로 삼아 뜨거운 태양과 바닷바람에 둘려 쌓여 염전 밭을 일구어왔던 삶의 여정을 대면하고 읽어내었다. 그러한 해석의 결과물들로, 설치조형, 영상, 텍스트, 드로잉, 아트 북 등으로 제시된다. 
    작가노트(자우녕)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시화호 방조제는 대부도를 육지와 연결하면서 어촌민에게 교통의 편리함을 제공하였습니다. 하지만 바지락의 보고였던 갯벌이 말할 수 없이 훼손되었고 식생들도 변하였습니다. 섬 아이들은 사라졌고 노인들만 남았습니다. 이제 80이 넘은 노인들의 여생도 그리 많이 남아있진 않습니다. 대부도의 환경도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합니다. 그래서 대부도의 기억을 간직한 연장자의 이야기를 듣고 기록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여겨졌습니다. 대부도 노인의 인생사는 오롯이 경기만의 역사이며 한국 근대사의 축소판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의도로 제작된「소금밭」의 글은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동에 있는 염전에서 일하고 있는 부부의 이야기를 기초로 지어졌습니다. 여기에서 염전이라는 하나의 공간은 두 염부의 기억으로 중첩되며 재구성됩니다. 나는 이를 두고 기억의 지리학이라 부르고자 합니다.
    prev
    next
    대부도 리서치 결과 사진책 「소금밭」
    대부도 리서치 결과 사진책 「소금밭」
    기억의 지리학1_ 목재, 유리, 엄나무_100x210_2016
    기억의 지리학1_ 목재, 유리, 엄나무_100x210_2016
    기억의 지리학2_ 아크릴, Vitrail_120X240_2016
    기억의 지리학2_ 아크릴, Vitrail_120X240_2016
    기억의 지리학3_ 석고_가변크기_2016
    기억의 지리학3_ 석고_가변크기_2016
    기억의 지리학4_ 아크릴, Vitrail_80X120_2016
    기억의 지리학4_ 아크릴, Vitrail_80X120_2016
    기억의 지리학5_ 목재, 유리, 가시나무, Vitrail, 석고_70x70_2016
    기억의 지리학5_ 목재, 유리, 가시나무, Vitrail, 석고_70x70_2016
     
     
     
     
     
     
     
    작가노트(최정수)
    태양, 빛, 시간, 바람, 염전, 소금, 땀과 노동 그리고 기억과 흔적…

    이는 이 지역 시흥시의 근대의 역사와 문화와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지만 비단 이 지역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지금까지 그 주변과 관계를 맺고 문화적, 공간적 맥락 속에서 존재하는 장소성은 개인의 기억들이 중첩되어 집단의 역사로 나타난다. 과거 이 지역민의 노동과 삶의 중심이였던 소래염전과 군자염전, 이제는 폐염 되어 과거의 시간으로 사라져 가지만 세찬 바닷바람에 간신히 버텨있는 오래된 소금창고만이 우리의 기억을 간신히 보듬어 주고 있을 뿐이다. 
    2007년 6월 기업의 자본과 경제 논리만을 앞세워 일순간에 없어져 버린 40여동의 소금창고. 현재는 그 흔적도 찾아 볼 수 없다. 사라진 소금창고는 누군가의 노동의 삶터로서 기쁨과 슬픔과 애환과 수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는 기억창고이다. 

    갯골 소금창고의 사라짐은, 비단 이 지역만의 일은 아닐 것이고, 단지 소금을 저장하는 창고의 사라짐만도 아닐 것이다. 
    prev
    next
    The 3rd Salt Warehouse_Metal, EL WIre, Salt_190x220x380cm_2016
    The 3rd Salt Warehouse_Metal, EL WIre, Salt_190x220x380cm_2016
    경고_HD Video_20sec(loop)_2016
    경고_HD Video_20sec(loop)_2016
    경고_Enamel Paint on Canvas_24x34cm_2016
    경고_Enamel Paint on Canvas_24x34cm_2016
    염부를 위한 드로잉_Wall Drawing_180x300cm_2016
    염부를 위한 드로잉_Wall Drawing_180x300cm_2016
     
     
     
     
    • 이전
    • 목록
    • 다음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만족
    • 보통
    • 불만족
프로젝트

염부, 기억의 지리학 / People who harvest salt, goegraphy in memory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용약관
    • 정보공개
    • 클린신고센터
    • 기관소개

      • 인사말
      • 연혁
      • 운영조직
      • 비전과미션
    • 홍보

      • 보도자료
      • CI소개
    • 기록자료

      • 도서자료
      • 문서자료
      • 시청각자료

(재)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캠퍼스
(15651)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로 101-19 (선감동)
Tel. 032-890-4800
대관문의 032-890-4811
FAX 032-890-4819

COPYRIGHT © GGCF. ALL RIGHTS RESERVED.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청

COPYRIGHT © GGC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