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레지던시
김윤경
-
관리자
2011.09.14
-
- 0
Email/ kimyunkyoung@gmail.com
작품보기
학력
2001-2006 뉴욕시립대학교 대학원(Graduate Center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수학(뉴욕, 미국)
199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졸업(문학석사, 서울)
1993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 졸업(문학사, 서울)
199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졸업(문학석사, 서울)
1993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 졸업(문학사, 서울)
활동경력
2011 “2011 세로네 비엔날레 디 몬자(2011 SerrOne Biennale di Monza, Monza, Italy)” 초청 큐레이터(몬자, 이태리)
2007-현재 몽인아트센터 디렉터(서울)
2007 “국제작가포럼(Artist Forum International: AFI) 2007” 프로젝트 디렉터(서울)
2006 사무소: 스페이스 포 컨템포러리 아트 전시기획팀 실장(서울)
2002 뉴욕시 문화부 퍼센트 아트 프로그램(Percent for Art Program,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City of New York) 인턴(뉴욕)
1999 프랑스 문화부 초청 미술관 연수 프로그램(Séjour Culture du Programme “Courants”) 수료(파리, 프랑스)
1997-2000 아트선재센터(서울)/아트선재미술관(경주) 큐레이터
1995-1996 “제6회 스투트가르트 소형 조각 트리엔날레(6. Triennale Kleinplastik 1995, Stuttgart)” 어시스턴트(스투트가르트, 독일)
2007-현재 몽인아트센터 디렉터(서울)
2007 “국제작가포럼(Artist Forum International: AFI) 2007” 프로젝트 디렉터(서울)
2006 사무소: 스페이스 포 컨템포러리 아트 전시기획팀 실장(서울)
2002 뉴욕시 문화부 퍼센트 아트 프로그램(Percent for Art Program,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City of New York) 인턴(뉴욕)
1999 프랑스 문화부 초청 미술관 연수 프로그램(Séjour Culture du Programme “Courants”) 수료(파리, 프랑스)
1997-2000 아트선재센터(서울)/아트선재미술관(경주) 큐레이터
1995-1996 “제6회 스투트가르트 소형 조각 트리엔날레(6. Triennale Kleinplastik 1995, Stuttgart)” 어시스턴트(스투트가르트, 독일)
전시기획 및 진행
2010
“The Same Yet Different: 정주영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Games of Desire: Shirin Neshat,” 몽인아트센터(서울)
“Red Fish up the River: 박윤영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My Dears… Happiness consists of being able to tell the truth without hurting anyone: 강석호, 김윤호, 서동욱, 안정주, 최기창,” 몽인아트센터(서울)
2009
“사라지다, 은평 뉴타운에 관한 어떤 기록: 강홍구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end of the Rainbow: 지니서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Klatsassin: Stan Douglas,” 몽인아트센터(서울)
“Bleeding Blue: 유현미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8
“Contextual Listening: 박기원, 박화영, 홍정표,” 몽인아트센터(서울)
“Paradise Hormone: 이수경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8 인미공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중간보고,” 인사미술공간(서울, 공동기획)
“Gazing without Eyes: 도윤희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7
“인미공 ‘열’전: 권경환 & 오진선,” 인사미술공간(서울)
2006
“Archaeology of New York,” 갤러리 코리아, 한국문화원(뉴욕, 공동기획)
“AFI 2006 공공의 순간,” 대안공간 루프, 쌈지스페이스, 갤러리 꽃, 갤러리 숲(서울, 전시자문)
“fragments, 12th avenue: 권자연 개인전,” 브레인팩토리(서울)
2000
“이화여자대학교 동문전: 21세기를 여는 지성과 감성,”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전시자문)
1999
“아줌마: 오형근 개인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이세득 회고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아트선재미술관(경주)
“팬시댄스: 1990년 이후의 일본 현대미술,”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1998
“일상의 신화: 제2회 지역작가전,” 선재미술관(경주)
“반향: 개관기념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흔적지우기: 양주혜 개인전,”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독일과 한국: 제7회 트리엔날레 형태와 내용,”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이불 개인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느림,” 빅토리아 내셔널 갤러리(멜버른); 뉴 사우스 웨일즈 갤러리(시드니, 호주, 전시진행)
1997
“레벨 게임: 홍명섭 개인전,” 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The Same Yet Different: 정주영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Games of Desire: Shirin Neshat,” 몽인아트센터(서울)
“Red Fish up the River: 박윤영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My Dears… Happiness consists of being able to tell the truth without hurting anyone: 강석호, 김윤호, 서동욱, 안정주, 최기창,” 몽인아트센터(서울)
2009
“사라지다, 은평 뉴타운에 관한 어떤 기록: 강홍구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end of the Rainbow: 지니서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Klatsassin: Stan Douglas,” 몽인아트센터(서울)
“Bleeding Blue: 유현미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8
“Contextual Listening: 박기원, 박화영, 홍정표,” 몽인아트센터(서울)
“Paradise Hormone: 이수경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8 인미공 신진작가지원 프로그램: 중간보고,” 인사미술공간(서울, 공동기획)
“Gazing without Eyes: 도윤희 개인전,” 몽인아트센터(서울)
2007
“인미공 ‘열’전: 권경환 & 오진선,” 인사미술공간(서울)
2006
“Archaeology of New York,” 갤러리 코리아, 한국문화원(뉴욕, 공동기획)
“AFI 2006 공공의 순간,” 대안공간 루프, 쌈지스페이스, 갤러리 꽃, 갤러리 숲(서울, 전시자문)
“fragments, 12th avenue: 권자연 개인전,” 브레인팩토리(서울)
2000
“이화여자대학교 동문전: 21세기를 여는 지성과 감성,”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전시자문)
1999
“아줌마: 오형근 개인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이세득 회고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아트선재미술관(경주)
“팬시댄스: 1990년 이후의 일본 현대미술,”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1998
“일상의 신화: 제2회 지역작가전,” 선재미술관(경주)
“반향: 개관기념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흔적지우기: 양주혜 개인전,”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독일과 한국: 제7회 트리엔날레 형태와 내용,” 아트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이불 개인전,” 아트선재센터(서울, 전시진행)
“느림,” 빅토리아 내셔널 갤러리(멜버른); 뉴 사우스 웨일즈 갤러리(시드니, 호주, 전시진행)
1997
“레벨 게임: 홍명섭 개인전,” 선재미술관(경주, 전시진행)
심포지움/학술발표회
2006
“뉴욕의 고고학: 전시프로젝트,” 코넬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연례 심포지움 “On Edge: Visual Culture Across Boundaries,” 코넬대학교(이타카, 미국, 공동연구)
2004
“공공미술, 또 하나의 접근법: <행동하는 문화> 사례를 중심으로,” 제5회 심포지움 “공공포럼으로서의 미술,” 현대미술사학회(서울)
1997
“콘스탄틴 브랑쿠지의 <티르구 지우 기념물>: 기념물의 새로운 형식과 의미,” 제20회 학술발표회, 서양미술사학회(서울)
“뉴욕의 고고학: 전시프로젝트,” 코넬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연례 심포지움 “On Edge: Visual Culture Across Boundaries,” 코넬대학교(이타카, 미국, 공동연구)
2004
“공공미술, 또 하나의 접근법: <행동하는 문화> 사례를 중심으로,” 제5회 심포지움 “공공포럼으로서의 미술,” 현대미술사학회(서울)
1997
“콘스탄틴 브랑쿠지의 <티르구 지우 기념물>: 기념물의 새로운 형식과 의미,” 제20회 학술발표회, 서양미술사학회(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