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레지던시
성기완
-
관리자
2014.05.28
-
- 0
Email/ kumbawani@gmail.com
학력
86. 3. – 90. 2.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90. 3. – 92.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92. 3. – 96.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90. 3. – 92.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92. 3. – 96.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경력
영화음악, 공연음악 등
2002년 MBC 수목 드라마 <네멋대로 해라>에서 밴드 음악 담당.1998-2005년 강화정의 실험극 <(없어질) 박물관의 초대>, <사랑할 수 없어>, <소설주스> 등에서 음악 담당.
2003년 영화 <싱글즈> 음악감독.
2003년 노동자 뉴스제작단 다큐멘터리 <이중의 적> 음악감독.
2003년 영화 <…ING>의 오프닝 음악(3호선버터플라이).
2003년 한국, 홍콩, 일본 합작 연극 <세자매> 음악감독.
2004년 광주비엔날레 개막식 음악감독
2004년 홍콩에서 실험적 복합극 <E Never Forgets> 음악 감독
2005년 영화 <미스터 소크라테스> 음악감독
2006년 영화 <플라이 대디> 음악감독
2007년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라듸오데이즈> 음악 감독
2008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라듸오데이즈>가 올해의 영화음악으로 노미네이트.
2011년 1월 28 제 1회 산울림 낭독 페스티발 참여.
2011년 2월 안경모 연출 연극 ‘살’ 음악감독.
2011년 5월 7일 Improvisory Ensemble: 네장의 다른 악보와 전자음악(작곡, 감독, 연주) 덕수궁 미술관 로비
2011년 9월 뮤지컬 ‘Cooking With Elvis’ 음악감독 & 드라마터그
2011년 12월 22일-24일 안애순 무용단 연말 공연 ‘마이크’ (아르코 대극장) 음악감독
2013년 5월 18일 안애순 무용단 ‘인굿아웃’ 음악감독(강동아트센터)
2013년 12월 20일 예효승 ‘I’m so Tired’ 음악감독(대학로예술극장)
음반
1993년 밴드 Tomato 데뷔음반 발표1997년 싱글 ‘라면을 끓이며’ 발표 (모음음반 ‘One Day Tours’ 앨범에 수록)
1997년 밴드 99 데뷔음반 발매(Yellow Kitchen과 함께)
1998년 밴드 99 두 번째 음반 발매(앨범 제목 ‘스케치 북‘)
1999년 모음집 ‘The Phenomenon Pack Green Night’ 발매
1999년 모음집 ‘Open the Door’에 ‘라면을 끓이며’ remix version 수록
1999년 솔로앨범 ‘나무가 되는 법’ 발매
2000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데뷔음반 발매(Self-titled Obsession)
2002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두 번째 음반 발매(Oh Silence)
2004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세 번째 음반 발매(Time Table)
2005년 영화 <미스터 소크라테스> OST 발매
2006년 영화 <플라이 대디> OST 발매
2007년 영화 <라듸오데이즈> OST 발매
2008년 솔로 앨범 <당신의 노래> 발매
2009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3.5집(EP) 발매(Nine Days or a Million)
2010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1, 2, 3집 리믹스, 리마스터링하여 재발매.
2012년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영어 EP <Ice Cube> 발매
2012년 8월 10일 솔로 3집 <ㄹ> 발매
2012년 9월 6일 3호선버터플라이 정규 4집 <dreamtalk> 발매
저서
- 시집
1998년 첫 시집 ‘쇼핑갔다 오십니까’ 발간(문학과 지성사).
2003년 두 번째 시집 ‘유리 이야기’ 발간(문학과 지성사).
2008년 세 번째 시집 ‘당신의 텍스트’ 발간(문학과 지성사).
2012년 네 번째 시집 ‘ㄹ’(민음사) - 산문집, 평론집
재즈를 찾아서(1996, 문학과 지성사)
얼트문화와 록음악(한나래 출판사, 신현준 등과 공저)
장미빛 도살장 풍경(2002, 문학동네, 문화 평론집)
영화음악, 현실보다 깊은 소리(2003, 한나래)
홍대앞 새벽 세시(2009, 사문난적)
모듈(2012, 문학과지성사) - 번역
록의 시대(시공사, 디스커버리 총서)
뮤직 비디오, 어떻게 읽을 것인가(한나래, 채규진과 공역)
아스테릭스 시리즈(문학과 지성사, 오영주와 공역)
마일스(마일즈 데이비스의 자서전, 집사제)
엘비스, 끝나지 않는 전설(엘비스 프레슬리의 전기, 이마고, 최윤석과 공역)
이외에 다수.
전시, 기타
2008년 8.22 SFX 서울전 사운드설치작품 ‘당신의 텍스트’ 전시(최수환, 이태한과 공동작업)2009년 2009.5.22-7.5 아르코 미술관 개관 30주년 기념 전시 ‘대학로 100번지’에 학림: 왓칭미토킹 출품.
2009년 6.20.토 성기완+구동희: 파라랭귀지-패이션트콘트롤; 오디오비쥬얼 퍼포먼스 @ 문지문화원 사이 (Text@Media전)
2011년 8.11(목) ~ 2012. 2.11 (토) 문화역서울 284(구서울역사) 재개관프로젝트 ‘카운트다운’ SSAP(Seoul Sound Archive Project) 서울역 소리보관 프로젝트 전시
2012년 9.19-12.2 덕수궁 프로젝트에 사운드 설치 <오디오라마-궁중소설구술프로젝트>와 하지훈 <자리>의 음악으로 참여(SSAP)
2012년 12.11 금호갤러리 사운드설치 <함바집 Labourers’ Cafeteria> 전시
지원, 수상
2011년 1월 ‘서울 사운드아카이브 프로젝트 (SSAP)’가 서울문화재단 다원예술부문 지원사업 선정(1500만원).2012년 1월 ‘서울사운드아카이브 프로젝트’ 한국문화에술위원회 다원예술부문 지원사업 선정.
2013년 1월 아시아 예술잡지 ‘빛과 숲’ 제정 바움작품상 수상
2013년 2월 13일 3호선버터플라이 제 2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발견 인디부문 수상
2013년 2월 28일 3호선버터플라이 ‘Dreamtalk’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 올해의 노래(모던락부문), 올해의 음반(모던 락부문) 3개부문 수상
2013 10월 9일 3호선버터플라이 ‘Dreamtalk’ 이매진 어워드 Imagene Awards 올해의 앨범상 수상
2014년 3월 경기창작센터 초청입주작가로 선정(2년간)
입주작업계획
입주후 작업 개요
초청작가로 경기창작센터에 입주하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 프로젝트가 상호 보완, 충돌하면서 힘을모으기도 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튀어나가기도 할 것 같다. 이를테면 2013년에 작고하신 아버지(시인 성찬경)을 추모하는
시집을 집필 중인데, 이 시집과 동시에 아버지가 생전에 열렬히 좋아하셨던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 연가곡집을 인디뮤지
션의 마인드로 재해석하여 시집과 함께 발매하는 등의 작업들.
음악
- 3호선버터플라이 4집 <Dreamtalk> LP 발매
- 3호선버터플라이 5집 작곡, 편곡, 데모작업
- 제주 4.3 다큐멘터리 ‘산, 들, 바다의 노래’(가제) 음악작업
- 솔로 5집 ‘아버지의 겨울나그네’ 편곡 및 재해석 작업
시, 글
- 다섯번 째 시집 ‘놓고가신 님’(가제) 집필.
- 번역서 ‘히피의 역사 – 반문화와 청년문화’(가제) 번역 완료.
- 소리에 관한 인문학적 사유를 담은 에세이 ‘뒤’(가제) 구상 및 집필
- 문확과 음악의 관계에 관한 에세이 ‘창조적 듣기 – 음악과 텍스트’(가제) 집필
사운드아트
- 대부도 사운드스케이프 작업.
- 2013년 가을에 계원예대 학생들과 시작한 대부도 사운드스케이프의 지속적 조사.
- 대부도에서 직접 녹음한 필드 레코딩 데이터를 활용, 사운드 설치 작품을 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