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딧불의 땅
-
- 0
- 0
대상 개인 / 누구나 / 20명 교육기간 2025-10-18(토) 접수기간 2025-10-04(토) ~ 2025-10-17(금) 장소 교육동(2층) / 교육실01 참가비 무료 접수하기
-
-
소개
본 프로젝트는 시민들이 직접 디자인한 수호신 캐릭터와 소망의 문장을 태양광 소원등으로 제작하여, 경기창작캠퍼스의 유휴 공간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통해 선감도의 아픈 기억을 시민의 참여와 예술적 상상력으로 치유하고, 경기창작캠퍼스를 예술적 추모와 기억의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경기창작캠퍼스의 유휴 공간을 시민의 삶과 추억이 담긴 새로운 예술의 장으로 만듭니다.
주요 내용
① 소원부 작성 - 참여자의 바람과 소망을 담은 '소원부'를 작성 (40분 내외)
② 나만의 수호신 캐릭터 워크숍 - 자신을 지켜주는 수호신을 직접 디자인 (40분 내외)
③ 소원부적 코팅 - 제작한 소원부적을 코팅기를 활용하여 보존성 강화
④ 태양광 소원등 제작 - 완성된 소원부를 40개의 태양광 LED 조명구에 부착, 실외 설치용 소원등으로 변환
⑤ 유휴 공간 설치 - 경기창작캠퍼스 유휴 공간에 설치 (심야 자동 점등 기능 포함)
■ 강사(단체) 소개
- 김경진 : 시각예술가. 조각과 설치, 퍼포먼스를 통해 사회적 기억과 공동체 서사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 한 글자' 프로젝트를 세종시, 안산 선감도 등에서 전개하며 참여형 예술의 다양한 방식에 접근 중입니다.
- 김진 : 시각예술가. 슬픔과 상실의 감정을 정화의식과 물성으로 전환하는 퍼포먼스와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작업으로는《슬픔 마시기》,《고수레》등이 있으며, 전시공간을 감정의 장으로 전환하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서현덕 : 감각예술가. 현대인의 접촉 결핍과 신뢰 불안을 다룬 퍼포먼스와 감각 장치 설치 작업을 통해 공동체적 회복을 탐색합니다. 예술을 통해 "우리에겐 서로를 안을 장치가 필요하다"는 질문을 던지며, 공동체 감각을 재구성합니다.
■ 키트(재료) 소개
- 수호신 캐릭터 제작을 위한 방수 태양광 LED 반딧불 조명, 수호식 부적 키트, 그리고 코팅기가 준비되어있습니다.
■ 준비
- 활동에 편안하게 참여하실 수 있도록 편한 복장을 권장드립니다.
유의사항
방문객 및 관람객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초상권 이용 동의
- 프로그램의 공식 기록을 위하여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진행합니다.
- 촬영 과정에서 참가자의 모습(얼굴)이 노출될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공식 누리집, SNS, 보도자료 등 홍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
- 현장에서는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합니다. 반드시 개인 텀블러나 다회용기를 사용해 주세요.
- 가져온 쓰레기는 모두 직접 회수·반출합니다.
-
현재 진행 중인 교육
일반인
반딧불의 땅